돈 걱정 없이 시원하게 여름 나는 법
"에어컨 사용 전기요금이 알고 싶나요?"
더운 여름과 전기요금 때문에 걱정된다면,
한전의 도움말로 시원하게 여름을 보내면서 전기요금도 아껴보세요.
똑시
by 똑똑 시니어
1. 전기요금 미리 확인하기
더운 날씨에 에어컨을 많이 쓰면 전기요금이 걱정되죠. 한국전력공사 서비스로 미리 요금을 확인하고 관리해보세요.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 관리비에 전기요금 포함되는 경우
집합건물 거주 세대를 위한 확인 방법
월패드
: 집 안의 월패드로 실시간 전기 사용량 확인 가능
스마트 전력 앱
: 관리사무소에 참여 여부 확인 후 앱 설치
문의 연락처
누리플랙스: 02-781-0707
LS일렉트릭: 1688-1665
(주)덕산: 1644-8691
씨앤유글로벌: 031-778-7158
한전에서 직접 전기요금을 받는 경우
한전 고객센터 123에 전화해서 원격검침기(AMI) 설치 여부 확인하세요
앱으로 확인하기: 설치 후 실시간으로 사용량과 요금 확인 가능
한전ON: 마이페이지에서 사용량 조회와 요금 계산
파워플래너: 첫 화면에서 사용량과 요금 바로 확인
직접 계산해보기
계량기 숫자 확인 후 한전ON '전기요금 계산기' 이용
현재 사용량 = 현재 계량기 숫자 - 지난달 검침일 숫자
2. AMI(원격검침)란 무엇인가요?
AMI(원격검침) 확인 및 신청
AMI:
전기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스마트 계량기
설치 확인:
고객센터 123으로 문의
신청 방법:
한전ON 앱 또는 고객센터 123 (무료)
설치 신청 방법
한전ON 앱이나 고객센터 123을 통해 무료로 설치 가능
앱 활용 방법
AMI 설치 후 한전ON이나 파워플래너 앱으로 실시간 사용량과 요금 확인
아파트 거주 고객
한전ON에 세대 등록 후 예상 요금 확인, 정확한 계산은 관리사무소에 문의
3. 주택용 전력(저압)
적용 대상
주택에 사는 고객(아파트 포함), 계약전력 3kW 이하
독신자 합숙소, 기숙사, 사회복지시설 포함
실제 살고 있는 오피스텔
여름철 요금제 (7월 1일 ~ 8월 31일)
사용량: 300kWh 이하
기본요금: 910원/호
전력량 요금: 120.0원/kWh
사용량: 301~450kWh
기본요금: 1,600원/호
전력량 요금: 214.6원/kWh
사용량: 450kWh 초과
기본요금: 7,300원/호
전력량 요금: 307.3원/kWh
여름철(7~8월) 1,000kWh 넘을 경우: 736.2원/kWh
다른 계절 요금제 (1월 1일 ~ 6월 30일, 9월 1일~12월)
사용량: 200kWh 이하
기본요금: 910원/호
전력량 요금: 120.0원/kWh
사용량: 201~400kWh
기본요금: 1,600원/호
전력량 요금: 214.6원/kWh
사용량: 400kWh 초과
기본요금: 7,300원/호
전력량 요금: 307.3원/kWh
겨울철(12~2월) 1,000kWh 넘을 경우: 736.2원/kWh
4. 주택용 전력(고압)
적용 대상
고압으로 전기 공급받는 가정용 고객
여름철 요금제 (7월 1일 ~ 8월 31일)
사용량: 300kWh 이하
기본요금: 730원/호
전력량 요금: 105.0원/kWh
사용량: 301~450kWh
기본요금: 1,260원/호
전력량 요금: 174.0원/kWh
사용량: 450kWh 초과
기본요금: 6,060원/호
전력량 요금: 242.3원/kWh
여름철(7~8월) 1,000kWh 넘을 경우: 601.3원/kWh
다른 계절 요금제 (1월 1일 ~ 6월 30일, 9월 1일~12월)
사용량: 200kWh 이하
기본요금: 730원/호
전력량 요금: 105.0원/kWh
사용량: 201~400kWh
기본요금: 1,260원/호
전력량 요금: 174.0원/kWh
사용량: 400kWh 초과
기본요금: 6,060원/호
전력량 요금: 242.3원/kWh
겨울철(12~2월) 1,000kWh 넘을 경우: 601.3원/kWh
5. 전기세 아끼는 방법
전원 끄기
안 쓰는 전자제품은 끄고 플러그를 뽑아두세요.
절전 모드 사용
가전제품의 절전 기능을 켜서 전기를 덜 쓰세요.
알맞은 온도 지키기
여름철 에어컨은 26℃ 이상, 겨울 난방은 18℃ 이하로 맞추세요.
전기 많이 쓰는 제품 줄이기
전기를 많이 쓰는 제품은 짧게 사용하세요.
전기밥솥:
필요한 양만 짓고, 보온 기능 적게 쓰기
냉장고:
냉장실은 60%, 냉동실은 90% 채우기
기타:
안 쓰는 플러그 빼기, 절전형 가전제품 쓰기
이미지/내용출처:kepco
여러분의 의견은 어떤가요? 댓글을 달아주세요.